트럼프-젤렌스키, 광물협정 이견
푸틴 "우크라 새 영토 등 광물 공동개발 가능"
유엔, 우크라·유럽 주도 우크라전쟁 규탄 결의안 채택
|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백악관 집무실(오벌 오피스)에서 회담하는 자리에서 이같이 주장했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자국 키이우에서 열린 서방 지도자들과의 정상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올해 안에 전쟁을 끝낼 수 있기를 바란다"며 "올해가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평화의 시작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와의 '광물 협정' 체결과 관련,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만날 예정"이라며 "그가 협정에 서명하기 위해 이번 주 혹은 다음주에 (미국에) 올 예정"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희토류 등 자원에 대한 미국의 지분 획득 등을 위한 "최종 합의에 가까이 와 있다"면서 "우크라이나 의회의 승인이 필요할 것이나 나는 성사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동맹에 대한 안보 비용도 청구한다는 방침에 따라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3500억달러(500조4000억원)어치를 광물 등으로 돌려받을 것이라고 말해왔다.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 670억달러(96조원)와 예산지원 315억달러(45조원)를 제공했는데 5000억달러(720조원)에 달하는 광물을 달라고 요구하는 건 진지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고 반발하고 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도 22일 우크라이나가 2024년 자원에서 얻은 실제 수입은 11억달러(1조5700억원)에 불과했으며, 5000억달러는 미국이 지금까지 우크라이나에 지원·약속한 금액의 4배를 넘는다고 지적했다.
앞서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지난 12일 키이우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희토류 자원의 50% 지분을 요구하는 협정문 초안을 제시했지만 거부당했다.
|
NYT는 우크라이나가 광물·가스·원유 등 천연자원뿐만 아니라 항만과 다른 기반 시설에서 창출하는 수입의 절반을 미국에 넘긴다는 내용이 초안에 포함됐다고 전했다.
21일자로 작성한 이 초안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의 자원 수입은 미국이 100% 지분을 갖게 되는 기금에 투입되며, 우크라이나는 기금액이 5000억달러에 달할 때까지 계속 돈을 넣어야 한다.
다만 러시아는 자원이 풍부한 동부 돈바스 지역을 포함해 우크라이나 영토의 약 5분의 1을 장악하고 있는 것도 해결해야 하는데, 푸틴은 미국과 다른 외국 파트너들과 돈바스 등 '새 영토(점령지)'를 포함한 영토에서 희토류 개발을 공동으로 진행할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
푸틴은 러시아 국영방송 소속 파벨 자루빈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고, 러시아가 보유한 알루미늄에 대해서도 미국과 공동 사업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
|
트럼프 대통령은 또 다른 현안 중 하나인 유럽 평화유지군의 우크라이나 주둔 문제에 대해 푸틴이 수용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는 "유럽의 평화유지군을 우크라이나에 배치하는 것에 문제가 없다고 본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에 마크롱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안전보장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며 "우리는 확실한 억지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유럽연합(EU)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 조속히 가입하는 것이 우크라이나 안전보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날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하면 즉시 대통령직에서 물러날 용의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나토 가입은 러시아가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밝힌 조건이고, 트럼프 행정부도 이에 동조하고 있어 현실성은 낮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개전 3주년을 맞아 안토니우 코스타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 등 10여명의 유럽 지도자와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과 키이우를 방문, "유럽은 이 중요한 순간에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해 여기 있다"고 말했다.
|
|
한편 유엔 총회는 이날 우크라이나가 제출하고, 한국을 비롯해 주요 7개국(G7) 회원국인 일본·캐나다·프랑스·이탈리아·영국·독일 등 50여개국이 공동 발의한 우크라이나전쟁 관련 결의안을 찬성 94표·반대 18표, 기권 65표로 가결 처리했다. 미국과 헝가리·이스라엘 등이 반대표를 던졌다.
미국은 우크라이나가 주도한 결의안에 반대, 신속한 종전 필요성을 강조하고 우크라이나의 영토 보전에 관한 내용을 뺀 별도의 결의안을 제출했으나 거부됐다. 미국이 제출한 결의안 원안은 러시아의 침략은 언급하지 않으면서 "분쟁의 신속한 종결"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항구적 평화"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