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북한, 추석을 ‘혁명동지 기리는 날’로… 추석 당일만 공휴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tv.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917010009702

글자크기

닫기

천현빈 기자

승인 : 2024. 09. 17. 14:36

북한, 김일성 '봉건잔재 일소' 지시로 민속명절 폐지
김일성·김정일 생일, 당창건일 등 '사회주의 명절'로
북녘 향해 올리는 절
추석인 17일 오전 경기도 파주시 임진각 망배단에서 열린 제55회 합동경모대회에서 실향민들이 절을 올리고 있다. /연합
북한은 민족 최대 명절인 추석을 '혁명선배들과 동지'들을 추억하는 계기로 활용하는 등 선전의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추석 당일만 공휴일로 지정한 것도 남과 북의 다른 점이다.

북한은 광복 직후부터 민속명절을 봉건의 잔재로 여기고 음력설과 추석 등 민족 대명절을 폐지했다. 북한은 1946년에 양력설을 공식 설로 선포했지만, 1967년 김일성의 '봉건잔재 일소' 지시에 따라 설과 추석을 아예 없앴다.

통일부는 이와 관련해 "조상을 믿는 미신적 행태를 차단하고 봉건 사회의 유물을 청산해 1960년대 초반부터 본격화된 '당의 유일사상체계 확립'을 실현하려는 의도"라며 "그럼에도 민간의 추석 성묘 풍속은 암암리에 지속했고, 이후 북한 당국이 1972년 추석을 맞이해 성묘를 허용하며 부분적으로 민속명절이 부활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1980년대 사회주의권이 붕괴하자 체제 유지를 위한 '우리민족제일주의' 이념을 체계화했다. 이런 맥락으로 민속명절을 체제 유지의 수단으로 활용했다. 1988년 북한은 '추석' 명절을 허용했고 이듬해 음력설과 한식, 단오를 되살렸다.
통일부는 "북한은 고난의 행군을 겪으면서 민속명절을 북한 내부의 사회경제적 위기를 극복하고 '사회주의적' 통합을 위한 기제로 활용하는 경향이 강해졌다"고 밝혔다. 김정일은 2003년 음력설을 명절로 지정했고, 정월대보름을 휴일로 삼았다. 같은해 2월 조선신보에 따르면 단오와 추석을 예전 명칭인 수리날과 한가위로 부르기 시작했다.

이후 북한은 매년 추석 전후로 추석의 유래 및 제사 풍습을 소개하고 민족의 명절풍습을 '사회주의적 생활양식'에 맞게 계승해야 한다고 매체를 통해 선전했다. 2015년 6월 조선중앙통신은 '추석명절풍습'을 비롯한 '설맞이풍습', '정월대보름과 달맞이풍습' 등 관련 문화유산을 '국가비물질유산'으로 등록·관리 보도한 바 있다.

통일부는 "최근 노동신문을 비롯한 북한 매체들은 추석에 조상 묘를 찾아 제사를 지내는 것을 '응당한 도리'로 선전하면서 북한 주민의 '도덕적 풍모'를 반영한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주민들은 조상 묘를 찾기 전 대성산혁명열사릉, 조국해방전쟁참전열사묘 등을 찾아 인사하는 관행도 있다.

북한은 추석 음식으로 송편과 시루떡, 찰떡, 밤단자 등을 즐긴다. 또 평양 전통 음식인 노치와 개성의 토란국도 지역별 추석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노치는 찹쌀가루와 길금가루를 반죽해 하루 정도 삭혀 기름에 지진 음식이며, 토란국은 닭고기 국물에 토란을 넣어 끓여 만든다.

북한은 민속 명절 대신 김일성 생일인 4월 15일을 태양절로 기린다. 김정일 생일인 광명성절(2·16), 조선인민군 창건일 (2·8), 정전협정 체결일 (7·27), 정권 수립일(9·9), 노동당창건일(10·10) 등을 사회주의 대명절로 기린다.
천현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