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김은경 칼럼] 디지털 기술 교육은 디지털 사회의 평생교육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tv.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204010001539

글자크기

닫기

 

승인 : 2024. 02. 04. 17:57

2023111201001330200073241
김은경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디지털 전환이 진전되면서 디지털 기술(skill)을 모르면 물건을 사기도 어렵고 식사를 배달하거나 키오스크를 이용하기도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장년층이나 노년층 또는 저소득층의 디지털 기술 부족으로 인해 디지털 격차가 사회적 문제로 지적되기도 한다.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여 디지털 포용(digital inclusion)을 달성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내년부터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 코딩교육이 의무화되면, 자녀와 부모 세대 간 디지털 격차도 더 확대될 것이다.

디지털 기술은 이제 디지털 사회에서 살아가는 모든 시민이 갖추어야 하는 기본적인 생활 '도구'가 되었다. 유네스코(UNESCO)는 디지털 기술을 정보에 접근하고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디지털 기기, 커뮤니케이션 앱과 네트워크 등을 이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영국 정부는 필수 디지털 기술로 기기 사용 및 정보 취급, 온라인 작성 및 편집, 커뮤니케이션, 전자거래, 온라인 보안 및 책임성 등 5가지를 규정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은 기기와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정보를 찾고 평가하고 소통할 수 있는 디지털 문해력을 의미하는 것이다.

특히 과거에는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등 특정 업종에만 디지털 전문 인력이 필요했던 반면, 사회경제적으로 디지털화가 확대되면서 모든 부문에서 기본적인 디지털 기술을 가진 인력이 필요해졌다. 모든 사무직 종사자들은 업종을 불문하고 일정 수준의 디지털 기술을 가지고 있어야 행정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제조업 근로자들도 제조 스마트화로 인해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생산 활동을 할 수 있다. 무인 매장도 늘어가고 민원 업무도 스마트화되고 있어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일상생활조차 어려운 시대가 된 것이다.

한국은 디지털 강국으로 불리지만 디지털 역량과 활용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2022년 인터넷 이용실태조사'에 따르면 인터넷 보급률은 99.96%, 컴퓨터는 81.0%, 스마트폰은 98.6%에 달한다. 반면 세일즈포스(Salesforce)사의 글로벌 디지털 기술 지수(GDSI)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한국인의 일상적인 디지털 기술 수준은 초급 수준의 비중이 높고 일터에서의 디지털 기술 준비도도 높지 않다.

영국 정부는 전 국민의 디지털 기술을 향상하기 위해 공공, 민간 및 자선 부문 조직이 협력하는 디지털 기술 파트너십을 구성하여 개인 및 조직의 디지털 능력 제고를 지원하고 있다. 디지털 포용을 지향하면서 근로자들이 필요로 하는 일반적인 디지털 기술과 발전된 기술 모두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지역민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을 획득할 수 있도록 모든 종류의 기술 학습을 지원한다. 고용주들은 자신이 가장 필요한 지역에서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대학교들과 협업을 하기도 하고, 초등 교사들의 디지털 기술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도 있다.

국민의 디지털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디지털 기술 역량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시스템도 필요하다. 프랑스 정부는 2017년부터 디지털 기술 역량에 대한 평가 수단이자 기술 수준의 인증을 위해 Pix라는 공공 온라인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근로자, 구직자, 학생, 시민 등 누구나가 개인 계좌를 등록하여 Pix 플랫폼에서 무료로 자신의 역량을 평가받고 인증서를 받을 수 있다. 정보 및 데이터, 커뮤니케이션과 협력, 콘텐츠 창조, 보호 및 보안, 디지털 환경 등 5개 부문 16개 역량을 7개 수준으로 구분하여 평가한다. Pix 인증서는 기존의 디지털 기술 인증서들을 대체하였고, 고용주나 교육자가 직원이나 학생의 디지털 기술 역량 수준을 알고 그에 맞는 업무나 훈련 혹은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해 준다. 2019년 9월부터는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졸업반 학생, 그리고 평생교육 연수생 등은 Pix 평가 및 인증서를 받도록 법제화하였다.

디지털 사회에서 디지털 기술 교육은 시민 개개인의 디지털 문해력을 높여 전 국민이 디지털 사회에 적응하고 삶의 질을 높이면서 디지털화에 따른 편익을 누리게 해 준다. 현행 한국의 디지털 기술 교육은 디지털 인재 양성에 초점을 맞추면서, 부차적으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격차 완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취업지원과 관련된 다양한 디지털 기술 교육 프로그램도 있고, 대학의 디지털 관련 학과도 있다. 그러나 기업 현장에서는 여전히 디지털 기술을 갖춘 인력이 부족하고 디지털 격차 완화 정책의 실제 성과도 미흡하다는 평가가 많다. 디지털 기술 교육은 디지털 격차 해소를 넘어 전 국민의 디지털 기술 역량, 디지털 문해력 강화를 목표로 해야 한다.

디지털 기술 교육은 디지털 사회의 시민교육이자 평생교육이며 의무교육이 되어야 한다. 국민의 디지털 문해력 향상은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지고, 경제 전체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중앙정부 부처별, 그리고 각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분산된 디지털 기술 교육 프로그램들의 실효성을 평가하고 내실을 높이는 것이 시급하다. 정확한 목표 없이 이름만 디지털 기술 교육인 예산 지출용 사업들을 과감하게 정리해야 한다.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하여 기존의 폐교, 일자리 센터, 고용복지센터, 주민센터, 지역 도서관 등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은 필수 디지털 기술인 디지털 기기 사용 및 인터넷 검색 등 정보 취급 및 관리, 앱 이용법, 인터넷 문서 작성 및 편집, 커뮤니케이션, 전자 상거래, 사이버 보안, 디지털 윤리 및 에티켓과 디지털 시민교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교육의 내실화와 개인의 역량 강화를 위해 기업과 학교가 신뢰할만한 디지털 기술 역량에 대한 평가 및 인증시스템의 도입도 필요하다.

※본란의 칼럼은 본지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김은경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